미국 내 대학들의 교과목 재설계 프로그램을 주도하는 NCAT(National Center for Academic Transformation)에 의하면 (1)보완적 모형(supplement model), (2)대체적 모형(replacement), (3)온라인 모형(online model), (4)엠포리움 모형(emporium model), (5)뷔페 모형(buffet model) 등 이 있다.
(1) 보완적 모형(Supplement Model)
보완적 모델은 전통적 코스의 기본 구조는 유지하고, IT 기 을 활용한 교실 외 활동을 추가한 형태이다. 이 모델에서는 수업 시수는 종전대로 유지된다. 보완적 모델의 예로, NCAT가 지원한 Fairfield 대학교에서의 일반 생물 재설계 사례를 수 있다. 기존의 생물 수업은 수동적 강의 형식이 주를 이루고 학생 중심의 활동이 결여되어 있었다. 재설계를 통해 몇 차례의 강의 내용을 한 시간에 묶어 대형 강의로 제공하고, 나머지 시간을 학생들이 팀을 이루어 프로젝트와 토론을 할 수 있게 하였다. 결과적으로, 학생들은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해 생물을 심도 있게 이해하여 성적이 향상되었고 교육비용도 학생당 소요되는 교육비용을 $506에서 $350로 31%절감되었다.
(2) 대체적 모형(Replacement Model)
대체적 모형의 특징은 기존 수업 시수를 줄이고, 면대면 교수 시간을 온라인으로 대체한 형태를 말한다. 이 형태에서는 남아있는 면대면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은 전통 방식이 유지되기도 하고 바뀌기도 한다. 이 형태의 예로 일리노이대학교(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의 경제통계 과목 재설계 사례를 들 수 있다. 일리노이대학교는 주당 3번의 강의를 2번으로 축소하고, 교수 위주의 강의를 토의로 전환하였다. 줄어든 강의 분량만큼 학생들은 데이타 분석 활동을 팀 단위로 하고 온라인을 통해 즉시 환류를 받았다. 이렇게 재설계된 경제통계학 과목은 학생당 교육비용을 $237에서 $159로 줄였다.
(3) 온라인 모형(Online Model)
온라인 모델은 코스 재설계를 온라인 수업으로 완전히 대체하는 경우인데, 이는 다른 모델에 비해 드문 경우이다. 한 예로, 데이톤 대학교(University of Dayton)는 12분반으로 진행된 강의와 선다형 평가 중심의 기존의 심리학 개론을 온라인 소집단 활동 중심의 코스로 재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90% 이상 학습자가 강의를 위해 앉아있는 시간을 절약, 학습자가 과제에 투자하는 시간을 10%로부터 80%까지 증대, 예상되는 비용 절감 가격은 학생당 $139에서 $78이다.
(4) 엠포리움 모형(Emporium Model)
엠포리움 모델의 핵심은 학습이 가장 잘 일어나는 시간은 교수자가 가르치려는 시간이 아니라 학습자가 배우고자 할 때라는 개념이다.이 모델은 학생들이 필요로 할 다양한 형태의 자료들(상호작용이 가능한 웹 기반 비디오, 예제 등)을 온라인상으로 제공한다. 버지니아 공대(Virginia Tech)에서 엠포리움 모형을 처음 시도했는데, 선형대수 과목을 다양한 자기주도적 학습에 대한 선택권을 주어서 재설계하였다. 가을학기에 1,500명, 봄학기에 500명의 학생들이 수강하는 과목을 기존의 40명으로 구성된 다수의 분반을 하나의 코스로 통합시켰다. 모든 강의 시간은 없애고, 500개의 컴퓨터 랩 안에서 교수진, 조교, 학부생으로 구성된 튜터를 활용, 일대일 현장 도움 학습을 하였다. 학생들은 산술 예제, 온라인 퀴즈 등 다양한 웹 기반 자료 시스템에 원하는 때 언제라도 접근할 수 있었다. 학생들의 성적향상은 물론 학생당 소요되는 교육비용을 $91에서 $27로 절감 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5) 뷔페 모형(Buffet Model)
뷔페 모형은 학습자의 개별적 특성을 고려하여 각각의 코스에 다양한 선택기회를 보장하는 모형이다. 학생들은 학습 환경이나 교수자와의 상호작용 정도 등을 개인의 학습 성향에 맞추어 선택할 수 있다. 이 모형의 예로 오하이오 주립대학교(Ohio State University)는 메인 캠퍼스에 2,850명, 분기 캠퍼스에 400명이 수강하는 5학점 '통계학개론' 과목을 재설계하였다. 학생들에게 각 학습 주제의 학습 경로를 선택할 수 있게 하고 다양한 학습 방식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 '뷔페'는 (반 이상으로 줄어든) 강의, 발견을 위한 랩, 실시간 원격 리뷰, 소그룹 학습 세션, 비디오, 트레이닝 모듈, 구두/지면 프레젠테이션, 능동적 대그룹 문제 해결, 개별 과제(TA 활용한 채점 또는 자가채점), 개별/그룹 과제 등으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기대되는 학생당 교육비용이 $190에서 $132로 감소되었다.